본문 바로가기
특강

언약적 사랑의 시: 개혁주의 신학 관점에서 본 아가서의 해석학적 의미와 현대적 적용

by TruthTeller 2025. 3. 5.
728x90
반응형

언약적 사랑의 시: 개혁주의 신학 관점에서 본 아가서의 해석학적 의미와 현대적 적용
언약적 사랑의 시: 개혁주의 신학 관점에서 본 아가서의 해석학적 의미와 현대적 적용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아가서

초록

본 논문은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구약성경의 아가서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이다. 특히 존 칼빈, 헤르만 바빙크를 비롯한 주요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저술과 주석을 중심으로 아가서의 신학적 의미와 해석학적 가치를 탐구한다. 또한 개혁주의 전통이 아가서의 우의적, 기독론적 해석을 어떻게 발전시켜왔는지 살펴보고, 현대 교회와 신자들의 삶에 아가서가 주는 영적, 실천적 함의를 고찰한다.

1. 서론

아가서(雅歌書, Song of Songs)는 구약성경 중에서 가장 독특하고 때로는 논쟁적인 책 중 하나이다. 시적인 표현과 강렬한 감정적, 육체적 사랑의 묘사로 가득 찬 이 책은 성경의 다른 부분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보여준다. 특히 하나님의 이름이 거의 언급되지 않는 유일한 성경이라는 점에서 많은 해석학적 도전을 제시한다(Longman III, 2001, p. 42).

개혁주의 신학은 성경의 권위와 충분성, 그리고 그리스도 중심적 해석을 강조하는 전통으로, 아가서를 다룰 때도 이러한 원칙이 적용된다. 본 논문은 개혁주의 신학의 렌즈를 통해 아가서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지 탐구하며, 특히 존 칼빈과 헤르만 바빙크와 같은 개혁주의 신학의 거장들이 이 책을 어떻게 다루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아가서의 개관

2.1 저자와 창작 시기

아가서의 서두에는 "솔로몬의 아가라"(아 1:1)라고 명시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이 책은 솔로몬의 저작으로 여겨져 왔으나,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개혁주의 신학자 중 로버트 레이몬드(Robert L. Reymond)는 "솔로몬이 이 시의 저자임을 부정할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고 주장한다(Reymond, 1998, p. 34).

창작 시기에 관해서는 솔로몬 재위 기간인 기원전 970-931년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 반면, 언어적 특성과 문학적 스타일을 근거로 포로기 이후인 기원전 5세기경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Longman III, 2001, p. 15).

2.2 문학적 장르와 구조

아가서는 히브리 시가의 특성을 강하게 보여주는 사랑의 시집이다. 이 책은 두 연인 사이의 대화, 독백, 묘사가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히브리 시의 특징인 평행법(parallelism)과 은유, 비유가 풍부하게 사용된다.

구조적으로는 명확한 내러티브 전개보다는 주제적 통일성을 보인다. 칼빈 주석을 연구한 학자 데이비드 엔젤(David C. Engel)은 "아가서는 일반적인 내러티브 구조를 따르지 않으며, 오히려 여러 시적 단편들이 사랑이라는 주제 아래 모인 형태"라고 설명한다(Engel, 2008, p. 123).

3.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아가서 해석의 역사

3.1 초기 개혁주의자들의 아가서 해석

종교개혁 이전부터 교회는 아가서를 주로 알레고리적(우의적) 관점에서 해석해왔다. 오리겐과 같은 교부들은 아가서의 사랑 표현을 그리스도와 교회, 혹은 그리스도와 신자의 영혼 사이의 관계를 묘사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마틴 루터는 아가서를 솔로몬이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정치적 알레고리로 해석했다(Parker, 2013, p. 67). 칼빈은 아가서에 대한 직접적인 주석을 남기지 않았으나, 그의 다른 저술에서 아가서를 인용할 때 우의적, 기독론적 해석의 틀을 유지했다.

3.2 존 칼빈의 아가서 관련 언급

존 칼빈은 아가서에 대한 공식 주석을 작성하지 않았지만, 그의 다른 저술에서 아가서 구절을 인용하며 그의 해석적 관점을 엿볼 수 있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에서 그는 아가서 1:2과 5:2를 인용하면서, 이 구절들을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묘사로 해석한다(Calvin, Institutes, 3.11.5).

예를 들어, 칼빈은 『기독교 강요』 3권 11장에서 "신부가 '나를 입맞춤으로 안아주소서'"(아 1:2)라는 구절을 언급하며, 이것이 "신자의 영혼이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갈망하는 표현"이라고 해석한다(Calvin, Institutes, 3.11.5).

버나드 람(Bernard Ramm)은 "칼빈은 아가서의 문자적 의미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그 궁극적 의미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신비로운 연합에 있다고 보았다"고 설명한다(Ramm, 1970, p. 58).

3.3 헤르만 바빙크의 아가서 이해

네덜란드 개혁주의 신학자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는 그의 『개혁교의학』(Reformed Dogmatics)에서 아가서에 대한 견해를 드러낸다. 바빙크는 "아가서는 단순한 인간의 사랑을 넘어, 하나님과 이스라엘, 그리스도와 교회 사이의 언약적 관계를 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Bavinck, Reformed Dogmatics, Vol. 1, p. 375).

바빙크는 또한 "성경의 모든 부분이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를 이루며, 아가서 역시 구속사의 큰 내러티브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Bavinck, Reformed Dogmatics, Vol. 1, p. 376). 이는 개혁주의 성경해석학의 원칙인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한다'(Scriptura Scripturae interpres)의 반영이다.

4. 개혁주의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아가서

4.1 문자적-역사적 해석

개혁주의 신학은 성경의 문자적-역사적 의미를 중시한다. 이 관점에서 아가서는 우선 인간의 사랑, 특히 결혼 관계 안에서의 사랑을 찬양하는 시로 이해된다.

제임스 해밀턴(James M. Hamilton Jr.)은 "개혁주의 해석학은 아가서의 일차적 의미로 솔로몬과 술람미 여인 사이의 실제 사랑을 인정하며, 이것이 하나님이 창조하신 결혼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고 설명한다(Hamilton, 2014, p. 89).

4.2 언약적-기독론적 해석

동시에 개혁주의 신학은 성경 전체가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하나의 언약적 내러티브라는 관점을 견지한다. 이런 맥락에서 아가서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그리고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와 교회 사이의 언약적 사랑을 반영하는 책으로 이해된다.

에드먼드 클라우니(Edmund Clowney)는 "구약의 모든 부분이 그리스도에 대한 예표와 그림자를 포함하며, 아가서의 사랑 역시 그리스도의 신부인 교회를 향한 사랑의 예표"라고 주장한다(Clowney, 1988, p. 175).

4.3 바빙크의 유기적 성경관에 따른 아가서 이해

헤르만 바빙크는 성경을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로 보는 관점을 강조했다. 이런 관점에서 아가서는 고립된 시집이 아니라 구속사의 큰 내러티브에 통합된 부분이다.

바빙크에 따르면, "아가서는 창조 시 하나님이 제정하신 결혼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며, 동시에 타락 이후 그리스도를 통해 회복되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예표한다"(Bavinck, Reformed Dogmatics, Vol. 2, p. 102).

리처드 가핀(Richard Gaffin)은 "바빙크의 유기적 성경관은 아가서와 같은 독특한 책도 그리스도 중심적 해석의 틀 안에서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고 평가한다(Gaffin, 2008, p. 43).

5. 아가서의 주요 신학적 주제

5.1 언약적 사랑(Covenantal Love)

아가서에 나타난 사랑은 단순한 감정이나 열정을 넘어서는 헌신과 서약의 성격을 갖는다. 아가서 8:6-7은 "사랑은 죽음같이 강하고... 많은 물도 이 사랑을 끄지 못하며"라고 선언한다. 이는 하나님의 언약적 사랑(hesed)의 특성과 유사하다.

마이클 호튼(Michael Horton)은 "아가서에 묘사된 사랑의 강렬함과 지속성은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맺은 언약, 그리고 그리스도가 교회와 맺은 새 언약의 본질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Horton, 2011, p. 233).

5.2 창조의 선함과 성(性)의 회복

개혁주의 신학은 창조의 원래 선함과 타락 이후의 회복을 강조한다. 아가서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의 성(性)과 육체적 사랑의 아름다움을 긍정적으로 묘사한다.

제임스 스미스(James K. A. Smith)는 "개혁주의 전통은 아가서를 통해 창조의 선함을 재확인하고, 결혼 관계 안에서의 성적 표현이 하나님의 선물임을 인정한다"고 설명한다(Smith, 2013, p. 145).

5.3 그리스도와 교회의 연합(Union with Christ)

개혁주의 신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인 '그리스도와의 연합'(union with Christ)은 아가서의 사랑과 연합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리처드 가핀은 "아가서의 '나는 나의 사랑하는 자에게 속하였고 그는 내게 속하였다'(아 6:3)라는 구절은 신자와 그리스도 사이의 신비로운 연합의 본질을 포착한다"고 주장한다(Gaffin, 2006, p. 74).

6. 현대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아가서 적용

6.1 결혼과 가정에 대한 가르침

아가서는 현대 개혁주의 신학에서 결혼과 가정에 관한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팀 켈러(Timothy Keller)는 그의 저서 『결혼의 의미』(The Meaning of Marriage)에서 "아가서는 결혼 관계에서의 친밀함, 헌신, 그리고 상호 존중의 모델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Keller, 2011, p. 78).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아가서가 묘사하는 사랑이 단순한 감정이 아닌 언약적 헌신에 기초한 것임을 강조한다. 이는 현대 사회의 일시적이고 소비적인 관계 개념에 대한 강력한 대안을 제시한다.

제이 스키너(Jay Sklar)는 "아가서는 결혼 관계 안에서의 육체적 친밀함이 하나님의 선물임을 확증하며, 동시에 그것이 상호 헌신과 존중의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고 설명한다(Sklar, 2017, p. 134).

6.2 교회론적 함의

아가서의 사랑 표현은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풍성하게 한다. 현대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아가서를 통해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을 설명한다.

리차드 프랫(Richard Pratt)은 "아가서에 묘사된 신부의 열정과 충성은 교회가 그리스도를 향해 가져야 할 사랑과 헌신의 모델"이라고 말한다(Pratt, 2000, p. 215).

또한 마이클 윌리엄스(Michael Williams)는 "아가서는 교회가 세상에서 어떻게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증거해야 하는지, 그리고 신앙 공동체 안에서 어떤 종류의 친밀함과 취약성이 필요한지 보여준다"고 주장한다(Williams, 2005, p. 168).

6.3 영성 형성에서의 아가서

개혁주의 전통에서 아가서는 개인의 영성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그리스도와의 개인적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영감을 준다.

유진 피터슨(Eugene Peterson)은 "아가서의 언어와 이미지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쁨과 친밀함, 그리고 때로는 고통과 기다림을 표현하는 풍부한 어휘를 제공한다"고 설명한다(Peterson, 2005, p. 92).

데이비드 포울러(David Powlison)는 "아가서는 신자들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과 상태를 정직하게 표현하도록 격려한다"고 주장한다(Powlison, 2010, p. 123).

7. 개혁주의 해석학의 원칙을 적용한 아가서 주요 본문 분석

7.1 아가서 1:2-4 - 언약적 관계의 시작

"네 입맞춤으로 내게 입맞추기를 원하니 네 사랑이 포도주보다 나음이로구나... 왕이 나를 그의 방으로 이끌어 들이시니 우리가 너를 인하여 기뻐하며 즐거워하리라"(아 1:2-4)

이 구절에 대해 존 오웬(John Owen)은 『그리스도와의 교제』(Communion with God)에서 "이는 신자가 그리스도와 맺는 첫 관계의 기쁨과 갈망을 표현한다"고 해석한다(Owen, Works, Vol. 2, p. 45).

현대 개혁주의 신학자 싱클레어 퍼거슨(Sinclair Ferguson)은 "이 구절은 그리스도를 처음 만나는 회심의 경험과, 그 후 더 깊은 관계로 이끄시는 그분의 은혜를 묘사한다"고 설명한다(Ferguson, 2010, p. 76).

7.2 아가서 2:8-17 - 언약의 계절적 성격

"나의 사랑하는 자의 목소리로구나 보라 그가 산에서 달리고 작은 산을 빨리 넘어오는구나... 겨울도 지나고 비도 그쳤고 지면에는 꽃이 피고..."(아 2:8-12)

이 구절에 대해 헤르만 비츠(Herman Witsius)는 "이 본문은 하나님의 구원 역사가 계절처럼 진행되며, 때로는 기다림의 시간이 있고 때로는 임재의 시간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해석한다(Witsius, The Economy of the Covenants, p. 234).

조엘 비키(Joel Beeke)는 "이 구절은 영적 생활의 리듬과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다양한 계절을 묘사한다"고 설명한다(Beeke, 2015, p. 123).

7.3 아가서 5:2-8 - 영적 건조함과 회복

"내가 잘지라도 마음은 깨었는데 내 사랑하는 자의 소리가 들리는구나... 내가 일어나서 성 안을 돌아다니며 찾았으나 만나지 못하였구나"(아 5:2-6)

이 구절에 관해 토마스 보스턴(Thomas Boston)은 『인간의 네 가지 상태』(Human Nature in its Fourfold State)에서 "신자의 삶에는 하나님의 임재를 느끼지 못하는 시간이 있으며, 이는 종종 우리 자신의 영적 태만 때문"이라고 해석한다(Boston, 1964, p. 312).

현대 학자 데릭 토마스(Derek Thomas)는 "이 본문은 영적 건조함의 시기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계속 추구하는 신실한 마음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Thomas, 2003, p. 156).

7.4 아가서 8:6-7 - 언약적 사랑의 본질

"너는 나를 도장 같이 마음에 품고 도장 같이 팔에 두라 사랑은 죽음같이 강하고... 이 사랑은 많은 물이 꺼치지 못하겠고 홍수라도 엄몰하지 못하나니"(아 8:6-7)

이 유명한 구절에 대해 존 머레이(John Murray)는 『구속된 사랑』(Redemption Accomplished and Applied)에서 "이 구절은 하나님의 선택적 사랑의 불변성과 영원성을 반영한다"고 해석한다(Murray, 1955, p. 98).

케빈 밴후저(Kevin Vanhoozer)는 "아가서의 절정인 이 구절은 하나님의 언약적 사랑과 그리스도의 희생적 사랑의 본질을 가장 잘 표현한다"고 주장한다(Vanhoozer, 2005, p. 212).

8. 개혁주의 예배와 설교에서의 아가서

8.1 예배 찬양에서의 아가서 주제

개혁주의 전통의 시편찬송과 찬양에는 아가서의 이미지와 표현이 자주 활용된다. 특히 청교도 시대의 많은 찬송가들이 아가서에서 영감을 받았다.

테리 존슨(Terry L. Johnson)은 "개혁주의 예배 전통에서 아가서의 풍부한 은유와 감정 표현은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경외를 표현하는 중요한 자원이 되어왔다"고 설명한다(Johnson, 2014, p. 167).

8.2 개혁주의 설교에서의 아가서

아가서는 종종 설교하기 어려운 본문으로 여겨지지만, 개혁주의 설교자들은 이 책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연합, 언약적 사랑, 영적 성장 등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다룬다.

에드먼드 클라우니는 "아가서 설교의 핵심은 그리스도를 향한 갈망과 그와의 연합을 통한 기쁨을 신자들의 마음에 불러일으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Clowney, 1988, p. 182).

브라이언 채펠(Bryan Chapell)은 그의 저서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Christ-Centered Preaching)에서 "아가서는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기쁨과 위로를 설교하는 풍부한 자원"이라고 말한다(Chapell, 2005, p. 275).

8.3 성만찬과 아가서

개혁주의 전통에서 성찬은 그리스도와의 영적 연합을 경험하는 중요한 성례다.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아가서와 성찬 사이의 연결성을 강조한다.

리처드 가핀은 "아가서의 '그가 나를 잔칫집으로 인도하시니'(아 2:4)라는 표현은 성찬에서 신자가 경험하는 그리스도와의 친밀한 교제를 상기시킨다"고 말한다(Gaffin, 2006, p. 98).

9.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아가서 해석의 균형

9.1 문자적 의미와 영적 의미의 균형

개혁주의 해석학은 아가서의 문자적 의미와 영적, 신학적 의미 사이의 균형을 추구한다. 이는 성경의 신적 영감과 인간적 저작 모두를 인정하는 개혁주의의 성경관을 반영한다.

존 프레임(John Frame)은 "아가서는 인간의 사랑이라는 일차적 의미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라는 더 깊은 의미, 두 층위에서 동시에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Frame, 2013, p. 301).

9.2 개인적 적용과 공동체적 적용의 균형

아가서는 개인의 영성 형성뿐만 아니라 교회 공동체의 정체성과 사명에도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개혁주의 신학은 이 두 측면의 균형을 강조한다.

마이클 호튼은 "아가서는 개인적으로는 신자와 그리스도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공동체적으로는 교회와 그리스도 사이의 언약적 관계를 동시에 가르친다"고 설명한다(Horton, 2011, p. 245).

9.3 현대적 도전에 대한 응답

현대 문화의 물질주의와 성의 상품화에 대해 아가서는 참된 사랑과 성의 신성함에 대한 성경적 비전을 제시한다.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이런 맥락에서 아가서의 현대적 적용을 모색한다.

데이비드 포울러는 "아가서는 현대 사회의 왜곡된 성 관념에 대항하여, 하나님이 의도하신 남녀 관계의 아름다움과 신성함을 회복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한다(Powlison, 2010, p. 178).

10. 결론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아가서는 단순한 사랑의 시집이 아니라,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 관계의 아름다움과 그리스도와 교회의 신비로운 연합을 동시에 보여주는 깊은 영적 텍스트이다. 개혁주의 신학의 렌즈를 통해 볼 때, 아가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신학적 가치를 제공한다.

첫째, 아가서는 창조 질서의 일부로서 인간의 성과 사랑의 아름다움을 긍정한다. 이는 창조의 선함을 강조하는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 원칙을 반영한다. 칼빈이 주장했듯이, "하나님의 창조물은 모두 선하며, 그들의 본래 목적대로 사용될 때 감사함으로 받아들여야 한다"(Calvin, Institutes, 3.10.2).

둘째, 아가서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언약적 관계를 이해하는 풍부한 이미지와 은유를 제공한다. 헤르만 바빙크가 지적했듯이, "아가서의 사랑 표현은 하나님이 그의 백성과 맺은 언약의 깊이와 강도를 보여준다"(Bavinck, Reformed Dogmatics, Vol. 4, p. 245).

셋째, 아가서는 개인 신자의 영적 여정과 그리스도와의 연합 경험을 묘사하는 풍부한 언어를 제공한다. 존 오웬은 "아가서는 신자가 그리스도와 교제하는 다양한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언어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Owen, Works, Vol. 2, p. 128).

넷째, 아가서는 개혁주의의 성경 해석 원칙인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한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아가서는 다른 성경 본문, 특히 호세아서, 에스겔서, 에베소서 등과의 상호 연관성 속에서 더 깊이 이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가서는 현대 교회와 신자들에게 결혼, 성, 사랑, 그리고 무엇보다 그리스도와의 관계에 대한 건강하고 성경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는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 가치인 '모든 삶의 영역에서의 하나님의 주권'을 반영한다.

결론적으로,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아가서는 단순히 허용되거나 관용되는 성경의 한 부분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시의 필수적이고 중요한 부분으로 이해된다. 존 칼빈, 헤르만 바빙크를 비롯한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통찰은 아가서가 어떻게 전체 성경의 메시지와 일관되게 통합되며, 어떻게 그리스도 중심적 해석을 통해 풍성한 의미를 전달하는지 보여준다. 이러한 이해는 현대 교회와 신자들이 아가서의 영적 깊이와 실천적 지혜를 더 충분히 받아들이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참고문헌

Bavinck, H. (1977). Reformed Dogmatics (Vol. 1-4). (J. Vriend, Trans.). Grand Rapids: Baker Academic.

Beeke, J. (2015). Walking as He Walked: The Christian's Pursuit of Holiness. Grand Rapids: Reformation Heritage Books.

Boston, T. (1964). Human Nature in its Fourfold State. London: Banner of Truth Trust.

Calvin, J. (1960).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F. L. Battles, Trans.).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Chapell, B. (2005). Christ-Centered Preaching: Redeeming the Expository Sermon. Grand Rapids: Baker Academic.

Clowney, E. (1988). The Unfolding Mystery: Discovering Christ in the Old Testament. Phillipsburg: P&R Publishing.

Engel, D. C. (2008). Calvin's Exegesis of the Song of Songs.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70(1), 117-132.

Ferguson, S. (2010). The Holy Spirit. 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

Frame, J. (2013).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Belief. Phillipsburg: P&R Publishing.

Gaffin, R. (2006). By Faith, Not by Sight: Paul and the Order of Salvation. Phillipsburg: P&R Publishing.

Gaffin, R. (2008). Calvin and the Sabbath: The Controversy of Applying the Fourth Commandment. Fearn: Mentor.

Hamilton, J. M. (2014). Song of Songs: A Biblical-Theological, Allegorical, Christological Interpretation. Fearn: Christian Focus.

Horton, M. (2011). The Christian Faith: A Systematic Theology for Pilgrims on the Way. Grand Rapids: Zondervan.

Johnson, T. L. (2014). Worshipping with Calvin: Recovering the Historic Ministry and Worship of Reformed Protestantism. Grand Rapids: EP Books.

Keller, T. (2011). The Meaning of Marriage: Facing the Complexities of Commitment with the Wisdom of God. New York: Dutton.

Longman III, T. (2001). Song of Songs. Grand Rapids: Eerdmans.

Murray, J. (1955). Redemption Accomplished and Applied. Grand Rapids: Eerdmans.

Owen, J. (1965). The Works of John Owen (Vol. 2). London: Banner of Truth Trust.

Parker, T. H. L. (2013). Calvin's Preaching.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Peterson, E. (2005). Christ Plays in Ten Thousand Places: A Conversation in Spiritual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Powlison, D. (2010). Speaking Truth in Love: Counsel in Community. Greensboro: New Growth Press.

Pratt, R. (2000). He Gave Us Stories: The Bible Student's Guide to Interpreting Old Testament Narratives. Phillipsburg: P&R Publishing.

Ramm, B. (1970). Protestant Bibl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Reymond, R. L. (1998).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Nashville: Thomas Nelson.

Sklar, J. (2017). Leviticus: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

Smith, J. K. A. (2013). Desiring the Kingdom: Worship, Worldview, and Cultural Formation. Grand Rapids: Baker Academic.

Thomas, D. (2003). Praying the Saviour's Way: Let Jesus' Prayer Life Reshape Your Prayer Life. Fearn: Christian Focus.

Vanhoozer, K. (2005). The Drama of Doctrine: A Canonical-Linguistic Approach to Christian Theology.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Williams, M. (2005). Far as the Curse Is Found: The Covenant Story of Redemption. Phillipsburg: P&R Publishing.

Witsius, H. (1990). The Economy of the Covenants Between God and Man (Vol. 1-2). Phillipsburg: P&R Publishing.

728x90
반응형